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공매도 란, 공매도 뜻, 그리고 공매도 금지 (Short stock selling)

by _stayhungry 2020. 10. 20.
반응형

공매도 란, 공매도 뜻, 그리고 공매도 금지 (Short stock selling)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대한민국 30대입니다.

 

"테마주, 불법 공매도 내년 3월까지 집중 조사"

"곧 거품 꺼지겠지, 늘어나는 월가의 공매도"

"불법 공매도 96%는 외국인, 과태료는 고작 89억 원"

 

이번 포스팅은 없는 주식을 사고팔아 수익을 챙기는 단기 투자 전략 방법인 공매도 (short stock selling)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뜻 그리고 공매도 금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ash__profile, 출처 unsplash


공매도 란? 공매도 뜻

 

"주식을 빌려 주식을 하는 것"

 

공매도 란,

주식을 빌려 주식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사람이 주식을 파는 것으로, 보유하고 있지 않은 주식을 팔아 주가가 하락했을 때 다시 사들여 수익을 내는 투자 방법입니다.

 

공매도는 투자 전략 중 단기 투자 전략의 하나의 방법이고,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방법입니다.

 

 

공매도 흐름 및 예시

 

 공매도 흐름 

 

- 주식이 하락 할 것을 예상한다.

- 주식을 빌린다.

- 주식을 매도한다.

- 주가가 하락한다.

- 주식을 매수한다.

- 주식을 갚는다.

 

 

 공매도 예시 

 

- A 주식이 현재 10,000원인데 5,000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A 주식을 B로부터 10주를 10,000원에 빌린다. (+100,000원)

- A 주식 10주를 10,000에 매도한다. (+100,000원)

- A 주식이 예상대로 5,000원이 되었다.

- 다시 A 주식 10주를 5,000원 매수한다. (-50,000원)

- B에게 A 주식 10주를 갚는다.

- 결국, 시세차익 50,000원을 남겼다.

 

@noodlekim, 출처 unsplash

 

공매도의 순기능 그리고 역기능

 

공매도의 순기능은,

증시에 유동성을 공급하여 거래를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고평가 된 주가를 제자리로 돌려놓아 거품을 제거하는 순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매도의 역기능은,

공매도의 경우 주식이 하락해야 수익이 발생하는 기본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부정적인 일을 만들어 내거나, 주가의 하락을 위하여 좋지 않은 소문이 떠돌 수 있도록 한다거나, 부정적인 기업 보고서를 작성하여 의도적으로 주가를 하락시킬 수 있는 역기능이 존재합니다.

다.

 

 

공매도 금지

 

최근 코로나 19로 인하여 경제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공매도는 경제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금융 당국은 공매도 금지 정책을 시행합니다.

 

2020년 이전 우리나라 공매도 금지 조치의 이력은 글로벌 금융위기 (2008년 10월)에 약 8개월 동안 그리고 유럽 재정 위기 (2011년 8월)에 약 3개월간 시행한 이력이 있습니다.

 

@alschim, 출처 unsplash


다음 시간에 또 다른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